JAVA(77)
-
Method
동일한 행동(연산)을 할 때 마다 연산용 코드를 매번 작성하는 것은 매우 번거로운 일이다. // 계산1 int a = 1; int b = 2; System.out.println(a +" 와 " + b + " 의 더하기 연산을 수행한다."); int sum = a + b; System.out.println("결과값 = " + sum); // 계산2 int x = 10; int y = 20; System.out.println(x + " 와 "+ y +" 의 연산 수행"); int sum2 = x + y; System.out.println("x+y 의 결가괎 = " + sum2); 더하기 연산 100번 하다 시간만 날리고 죽것다. 아주. 이를 해소하기 위한 장치가 바로 '메소드' 이다. 동일한 행동에 대해 식..
2024.01.07 -
기초예제_배열과 반복문을 사용한 관리 프로그램
학습한 내용을 바탕으로 간단한 프로그램을 작성 해보자. 요구사항 및 제약 조건 필요 기능 - 상품 등록 - 상품 이름과 가격을 입력받아 저장함. - 상품 목록 출력 - 등록한 모든 상품 목록을 출력함. 필요 동작 첫 화면에서 사용자에게 선택지 제시 화면 내용 1. 상품등록 2. 상품목록 3. 종료 제약조건 상품은 최대 10개 까지 등록 가능. 사용해야 하는 변수와 구조 Scanner scanner String[] productNames int[] productPrices int productCount 아래는 조건에 맞춰 작성해 본 코드이다. int maxProducts = 10; Scanner scanner = new Scanner(System.in); String[] productNames = new ..
2024.01.07 -
반복문_향상된 for문
문법 // 향상된 for문 for( 변수 : 배열 또는 컬렉션){ 배열 또는 컬렉션을 순회하면서 실행할 코드; } 배열, 혹은 컬렉션에서 필요한 값을 바로 변수에 할당하여 사용 할 수 있다. 배열, 컬렉션을 순회하며 각각의 값을 꺼내오므로, for-each 문으로도 자주 부른다고 한다. // 기존 for문 for(반복에 필요한 변수 초기화; 반복 범위 조건; 증감식){ 반복 실행할 내용; } 기존 for문과 다르게 반복에 필요한 변수, 반복 범위, 증감식 등을 생략할 수 있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증감식은 ++ 만 사용되며, 특정 값을 지정할 수 없다. 따라서 모든 범위의 값들에 대해 접근, 사용할 때 유용한 '향상된 for문' 되시겠다. //덜 중요 인텔리제이에서 향상된 for 문의 숏컷 ..
2024.01.07 -
배열_2차원
지금껏 학습했던 내용은 1차원 배열이다. int[] array = new int[n]; [][][][][] 조금 더 나아가서 2차원 배열에 대해 알아보자. int[][] array = new int[row][column]; [][][][][] [][][][][] [][][][][] 위에서 행(Row)은 3, 열(Column)은 5 이다. 1차원 배열과 마찬가지로 [ ] 안에 인덱스를 입력하여 접근 및 사용이 가능하다. int[][] array = new int[2][3]; // 행 2, 열 3 array[0][0] = 1; array[0][1] = 2; array[0][2] = 3; array[1][0] = 4; array[1][1] = 5; array[1][2] = 6; // 0행 출럭 System.o..
2024.01.07 -
배열_
배열이란? 같은 타입의 변수를 하용하기 편하게 하나로 묶어둔 것 배열이 필요한 이유? - 동일 타입 변수의 생성과 사용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문제점 1. 정보량에 따라 늘어나게 되는 코드량 2. 반복 사용상의 어려움 고객 100명을 상대해야 한다고 가정 해보자. 변수를 사용해서 상품 변수에 값을 등록하게 되면 다음과 같은 코드가 펼쳐질 것이다. int customer1 = 10; int customer2 = 20; int customer3 = 30; int customer4 = 40; int customer5 = 50; int customer6 = 60; int customer7 = 70; System.out.println("customer1 = " + customer1); System.out.p..
2024.0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