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1. 5. 19:54ㆍ관광통역안내사 준비/관광국사
우리 민족의 형성과 선사 문화
선사 시대? 역사 시대?
선사 시대 : 문자를 사용하기 이전의 시대
역사 시대 : 문자를 사용하던 시대
우리 민족의 기원과 삶의 터전
한반도의 형성 : 구석기 시대 빙기 + 간빙기가 반복됨.
빙기 : 해수면 낮아, 주변 지역과 육로 이어짐
간빙기 : 해수면 상승으로 현재 지형 형성
우리 민족의 기원
인류 등장 = 구석기 시대
계통 : 몽골, 알타이어, 북방계
생활 터전 : 만주, 한반도
민족의 기틀 형성기 : 구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살았음. 신석기 시대와 청동기 시대 거치면서 민족 기틀 형성됨.
선사 시대와 역사 시대 생활 모습의 차이
구석기 시대
전기
뗀석기 사용. 사람도 찍고, 가죽도 찍고, 나무도 찍고, 아무튼 만능으로 사용함.
중기
큰 몸돌에서 떼어 낸 격지돌 손질하여 용도에 맞게 사용
ex) 긁개, 밀개, 자르개
후기
같은 형태의 돌날격지를 여러 개 만들 정도로 기술 발달함.
유적지
공주 석장리 : 1964년 남한 최초 구석기 유적 발굴. 전기~후기 유물 모두 존재
경기도 연천 전곡리 : 아슐리안계 주먹도끼 출토
** 프랑스의 생 아슐 유적지에서 주먹도끼가 처음 발견된 모양이다. 이 이름을 따, 아슐리안 주먹도끼라 불린다.
청원 두루봉 동굴 : 흥수아이 인골 발견
**흥수 아이
청원 동굴에서 발견된 인골로, 선사 시대에 장례 풍습이 있었음을 알려주는 시료이다.
생활
경제 : 수렵, 채집
주거 : 이동, 동굴, 강가의 막집(후기)
사회 : 가족 단위의 무리 생활, 평등한 공동체 생활
예술 : 사냥감 번성 기원. 주술
신석기 시대
유적지
평양 남경 유적, 황해도 봉산 지탑리 : 탄화된 좁쌀 발견됨
서울 암사동 : 빗살무늬 토기
부산 동심동 : 조개더미 유적, 조개껍질 가면
양양 오산리 : 조개더미
** 암사동 선사 유적지
1925년 대홍수로 세상에 알려짐.
생활모습
경제 : 농경과 목축 시작 (= 신석기 혁명)
유물 : 간석기, 토기, 가락바퀴
주거 : 움집
사회 : 정착 생활, 혈연(씨족) 중심 부족 사회
원시 신앙 출현 : 애니미즘, 토테미즘, 샤머니즘, 영혼, 조상 숭배
**
애니미즘(만물 정령 신앙)
토테미즘(특정 동물을 부족의 수호신으로 숭배)
샤머니즘(무당과 주술이 영혼이나 하늘을 연결해준다고 믿는 신앙)
예술 : 흑으로 빚어 구운 얼굴, 조개 껍데기 가면, 조가비로 만들 치레걸이 등
청동기 시대
유적지
의주 미송리 : 미송리식 토기
화순 대곡리 : 청동검, 청동거울, 팔주령 등
부여 송국리 : 돌널무덤
**미송리식 토기
달걀 모양 몸체 위에 높은 입구가 올려져 있고 손잡이가 달린 토기
생활모습
경제 : 농경 본격적 발달, 조, 보리, 콩, 벼 재배
유물 :
- 청동검, 청동거울, 청동방울 -> 지배 계급 무기 및 장식품
- 농기구 = 간석기 사용 -> 반달돌칼, 바퀴날도끼, 홈자귀
** 반달돌칼 = 곡식의 이삭을 따는 데 이용된 것으로 추정
- 토기 : 민무늬토기, 미송리식 토기, 붉은 간토기
무덤 : 고인돌, 돌널무덤, 돌무지무덤
주거 : 강가 끼고 잇는 구릉 지대 형성, 배산임수 형태
사회 :
- 계층사회 정립
- 족장의 권한 강화(샤머니즘 - 하늘에 제사 지내는 등 종교의식 주관 => 제정일치 사회)
- 사유재산 발달
선민사상 :
경제력, 정치 권력에 유세한 이들이 스스로를 하늘의 자손이라 믿는 선민사상을 지님
철기 시대
시기 : 기원전 5세기 보급. 기원전 1세기 본격화
유적지 : 창원 다호리 유적지
유물과 유적
- 철제 농기구 , 무기 사용 -> 이제 청동기는 주로 제사용 도구로 사용
- 한반도에서 독자적인 청동기 문화가 발전함 : 세형 동검, 잔무늬 거울, 거푸집
- 토기 생산 기술의 발달: 검은 간토기
- 무덤 : 널무덤, 독무덤(유체를 항아리 담아 무덤으로 사용)
집터 : 여 자형 집터 발달
사회 :
- 철제 농기구로 생산력 증대, 인구증가
- 정복전쟁 활발화. 부족 -> 국가로 발젼
- 직업의 전문화와 사회계층화 뚜렷해짐
중국과의 교류
명도전, 반량전, 오수전 등, 중국 화폐가 널리 출토됨. -> 중국과의 교류 활발했음을 시사
창원 다호리 유적지에서 붓이 출토됨 -> 한자의 전래를 추정함.
** 명도전
중국 춘추전국 시대 때 제나라와 연나라에서 사용한 청동화폐, 철기와 함께 출토됨.
반복학습
1.우리나라에서 아슐리안형 주먹도끼가 출토된 곳
= 연천 전곡리 유적(경기도)
2.우리나라 신석기 사람들 생활상
1. 다양한 종류 간석기 사용함.
2. 나무 열매, 물고기, 조개 등 먹고 살았음.
3. 대표적인 토기는 빗살무늬 토기임.
4. 농경사회가 시작됨.
3.청동기 시대 사회상은?
1. 사적 소유와 지배 피지배 관계가 발생함.
2. 약탈과 정복 위한 집단 간 전쟁이 잦았음.
3. 농업 생산량이 증가됐고 잉여 생산물이 발생함.
4.고인돌이 만들어지던 시대(=청동기)의 사회상에 관한 설명
1. 반달돌칼을 이용해 곡물의 이삭을 자름.
2. 수장의 권위를 상징하는 청동검 사용됨.
3. 민무늬 토기, 붉은 간토기 등을 만들어 사용함.
5.반달돌칼, 민무늬토기, 거친무늬거울은 어느 시대 유물인가?
= 청동기
6.구석기 시대의 인류 생활 모습은?
1. 동물의 뼈, 뿔로 만든 도구 사용
2. 공동체 생활
7. 연천 전곡리, 제천 창내, 단양 상시가, 청원 두루봉에 있는 유적지는 어느 시대인가?
그리고 그 특징은?
=> 구석기 시대
=> 뗀석기를 이용한 수렵, 채집 생활을 영위함
8. 빗살무늬토기를 사용하던 시대는?
=> 신석기 시대
어떤 식으로 살았지?
가락바퀴, 뼈바늘 등을 사용하여 옷, 그물 등을 만들었음.
조가비, 짐승 뼈, 이빨로 만든 치레걸이 등을 만듦.
9. 충남 공주시 석장리, 평안남도 상원 검은모루 동굴, 함경북도 웅기군 굴포리는 어느 시대 유적이지?
=> 청동기 유물임. 붉은 간토기, 민무늬토기 등을 사용함.
10. 빗살무늬토기를 사용한 사람들은 어느 시대 사람?
신석기
움집이 있었으며, 돌괭이로 농사를 지었고, 뼈바늘 등으로 옷, 그물을 짰지.
11. 철기의 보급과 함께 중국과의 교역이 있었음을 보여주는 유물은 무엇인가?
=> 명도전, 붓 등이 있다.
12. 가락바퀴가 있던 시대는? 그리고 특징은?
=> 신석기
=> 영혼 숭배, 조상 숭배를 하였다.
13. 붉은 간토기, 미송리식 토기, 민무늬토기는 청동기 시대에 사용되었다.
청동기 시대의 특징을 더 말해 봐라.
=> 반달돌칼을 사용하여 농업 생산량이 강화되었다.
14. 청동기 시대의 특징을 더 말해봐라.
=> 벼를 추수하였으며 농사가 크게 발전했다.
15. 비파형동검은 청동기에 만들어졌다. 사회상은 어땠었나?
=> 계급이 분화되고 군장이 등장했다.
16. 고인돌이 만들어지기 시작한 시대는 청동기이다. 청동기는 어땠었나?
=> 청동 무기의 보급으로 정복 활동이 활발해졌다.
17. 시대가 다른 것은 찾아봐라.
1) 정치 권력, 경제력 우세한 사람들이 선민 사상을 지녔다. => 청동기
2) 고인돌, 미송리식 토기, 비파형 동검 등의 유물이 있었다. => 청동기
3) 독무덤이 한반도 남부를 중심으로 유행했다. => 철기
4) 배산임수의 집단 취락 형태를 보였다. =>청동기
즉. 3번이다.
18. 오산리, 지탑리, 임사동, 고산리, 동산동의 유적지와 관련된 시대는 신석기이다. 신석기에 대해 설명하라.
=> 진흙으로 빚어 구운 빗살무늬토기를 사용했다.
=> 애니미즘, 토테미즘, 샤머니즘 등이 등장했다.
=> 연장자나 경험 많은 자가 부족을 이끌곤 했다.